티스토리 뷰
non- persistent HTTP (1.0 이하버전)
객체당 2RTT필요, TCP연결을 위한 OS오버헤드가 큼
(매번 마다 계속 연결 요청해야댐 효율 저하)
persistent HTTP(1.1부터)
TCP연결을 열린상태로 둠, 1RTT ( 맨처음에 핸드세이크 하는거 빼고 이후에 한느거를 말함)
HTTP필드
User-Agent : 쓰는 블아ㅜ저
Accept: 어떤 text를 처리할 수있는가
Accept_language : 언어
Accpet:-Encoding: 압축해서 보냄
keep-alive: 얼마동안 유효한가.
Telnet은 byte stream으로 주고받음(위험 노출)
301Moved permanetly
:딴걸로 바뀜, (예시로 기존의 http였던게 https로 바뀌면 http://www.naver.com 해도 https://~ 로 바꿔줌
쿠키란? 말그대로 먹고남은 부스러기
처음접속할시 식별자가 생성된다. 즉 로그인 하지 않아도 지난번에 온거를 알수있다( 쿠키가 남아있으므로)
그래서 보안적인 측면에서 노출이 될 위험이 있으므로 유럽에서는 뭐 6개월에 한번씩 다 지우라고 한단다.
Proxy
처음에는 rogin으로 가지만 담에는 proxy로 감(캐시같은 역할)
서버에서 임의로 가장 많이 보는 정보들을 proxy에 두면 효율이 좋을듯.
왜 이렇게 하나? 만약 많은 사람들이 한번에 몰리면 링크가 지연됨
이때 링크의 용량을 증설? 이건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. 고로 캐쉬서버 즉 프록시를 설치해서 해결한다고 한다.
FTP
파일 전송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. 그런데 현재 웹에서 파일다운받고 하는거는 다 HTTP로 함
HTTP 2
기존의 HTTP1.1에서는 GET html , GET js 이런식으로 하나씩 요청하였다.
그런데 2부터는 stream형식으로 하여서 한번 요청에 여러개의 반응이 오게 한다.
모든성능 향상의 핵심은 새 바이너리 프레이밍 계층 때문이라고 한다(왜? 잘모르겠당)
요청 및 응답다중화
-서버가 HTTP 메시지를 독립된 프레임으로 세분화하고, 이 프레임을 인터리빙한 다음, 다른 쪽에서 다시 조립하도록 허용합니다.
우선순위
-스트림을 종속성 및 가중치 조합을 이용하여 '우선순위 지정 트리'로 구성하여 통신한다. 이 우선순위가 높은 응답이 클라이언트에 최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.
흐름제어
-송신기의 데이터가 불필요하거나 처리가 불가능하여 수신기에 부담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
서버푸시
-서버가 단일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여러 응답을 보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.
- 클라이언트가 명시적으로 요청하지 않아도 서버가 추가적인 리소스를 클라이언트에 푸시
헤더압축
-기존의 여러 요청의 응답의 헤더가 비슷하기 때문에 이걸 압축시킨다.
HTTP2가 되면 강제로 TLS를 쓴다고합니다.
HTTP3 -> QUIC -> UDP로 쓰장
email -> SMTP로 씀 , base64 => 어떤 문자열을 아스키코드로
'3학년2학기 > 컴퓨터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네 9/11 정리 (0) | 2019.09.12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