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/13
인물을 덮고있는 우리가 있음
우리가 움직이면서 안에있는 격자점들도 자동적으로 움직이게 됨
이러한 조건일때 ax+by+c 는 유일한 함수이다.
무게중심은 v1,v2,v3 에 가까운정도이다.
v3에 가까우니깐 0.7이면 바꿔서도 v3에 가까울것
케이지가 찌그러지니깐 안에있던것도 찌그러진다.
찌그러진게 아니라 회전,확대,축소를 할수도 있다.]
3개의 미지수가 4개의 방정식을 만족하기는 어렵다.
오히려 해가 없는경우가 더 많을것
그래서 삼각형을 덮어야된다. -> 삼각형이 아니면?
무게중심좌표를 쓰려면 무적권 삼각형
적당한조건을 가지는 다른 함수로 사용(일차함수 사용 x)
무한히 많은것을 다 더한다 => 적분을쓴다.
나눠진 모양이 삼각형이므로 여기서 무게중심좌푤르 쓰면 됨
알파i는 각도
다리라고 생각하면 편하다.
실제로는 왼쪽거만 움직였지만 오른쪽에 있는거도 움직이게 된다.
이상하게 된다.
어떤 점의 좌표를 계산하기 위해서 그 점을 덮고있는 우리, 꼭지점을 쪼개고 적분하고 했는데
고로 멀리있는게 변해서 영향이 미침
볼록한거에는 좋음, 볼록하지않은거에는 x
편미분
제곱이면 2번 미분해라
두번 미분해서 0 이면 조화함수
영역을 잡고
영역 위에서 평균을 젠다( 돌아다니면서) , 그 값이 p에서의 함숫값과 동일한
영역위에서 평균=> 주변사람들이 어떤행동을 하는가,
주위와 조화를 이루는 함수
조화함수에서는 복수수로 가는 함수를 만들수있다.
조화함수인거를 찾자!
평균값 구하는건 멀리있는점도 영향을 미침
조화좌표는 아님
내부의 P와 p`을 구한다. 조화좌표에서는 값이 거의 변화가 없다.
왼쪽은 찌그러질수있으나 오른쪽은 아니다.
평균값성질이 중요!!!!!!
주변이 별로 안변했으면 나도 안변한다.